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2022 kakao blind
- 안드로이드
- Java
- 선언형 ui
- ModalBottomSheet
- BottomSheet
- 명령형ui
- 자바
- 2022 KAKAO BLIND RECRUITMENT
- JCF
- derivedstateof
- 선언형ui
- rememberupdatedstate
- 2989번
- NavHost
- genarics
- remembercoroutinescope
- State
- compose
- producestate
- apollo3
- mutablestate
- 클린아키텍처
- 양과 늑대
- mutableStateOf
- NavGraph
- clean coder
- snapshotflow
- bottomscaffold
- 명령형 ui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apollo3 (1)
버미
[안드로이드] GraphQL 사용하기 (Apollo3)
GraphQL을 안드로이드에 적용하기에 앞서, 간단하게 GraphQL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장단점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GraphQL페이스북이 개발한 QL(Query Language, 질의 언어)이다.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Rest API의 경우, 서버 측에서 API의 구조를 정해주고 이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REST API 와 GraphQL의 차이 REST APIGraphQL데이터 요청 방식여러 엔드포인트(/users, /posts)와 HTTP 메서드(GET, POST 등)를 사용하여 요청.하나의 엔드포인트(/graphql)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쿼리(Query) 또는 변경(Mutation) 요청으로 정의.언더페칭 문제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API..
안드로이드
2024. 12. 30. 20:38